• 두번째

국제개발협력

Social Economy
국제개발협력(Social Economy)이란?
개발원조 (Development Assistance)
 
수원국의 복지향상과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여국으로부터 수원국으로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원, 즉 물자, 기술, 증여, 양허성 차관을 지칭

국제개발협력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개발원조를 비롯하여 기타공적자금 (Other Official Flows), 수출신용, 민간투자와 같이 다양한 협력방식을 통해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개발도상국의 경제 사회발전을 촉진하는 활동

형태
 ⁻다자간 협력:
  수원국에 직접 자금을 제공하지 않고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개발계획(UNDP) 등 국제개발기구에 대한 출자 및 
  출연(분담금) 등을 통해 간접 지원하는 형태
 ⁻양자간 협력:
  원조 공여국에서 수원국(개발도상국)으로 원조자금 및 물자를 직접 지원하는 것을 말하는데,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구분
▶무상원조:
      법적 채무를 동반하지 않는 수원국 앞 현금 또는 현물이전 즉, 개도국은 공여된 원조자금에 대한 상환의무가 없음.
      예) 기술협력, 식량원조, 재난구호 등
▶유상원조 :
      법적 채무를 동반하는 수원국 앞 현금 또는 현물이전 즉, 개도국은 공여된 원조자금에 대한 상환의무가 있음.
      예) 개도국의 공공 개발 프로그램 및 사업에 대한 지원

사업분야
 ⁻교육                                                     ⁻공공행정                        ⁻산업에너지
 ⁻보건                                                     ⁻농림수산                        ⁻기후변화대응
 ⁻범분야 (환경, 여성, ICT, 인권)



관련 연구
정보

+

ODA 정책추진체계 및 전략 설정
정보

+

사업분야별 개발협력 전략 연구: 교육, 보건의료, 공공행정, 농림수산, 산업에너지, 기후변화대응
정보

+

지역별 협력 타당성 검토연구 및 전략 수립
정보

+

사업형태별 개발협력 전략 연구: 프로젝트사업, 국내초청연수사업, 재난긴급구호, 민관협력사업
정보

+

국제개발협력 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정보

+

국제사회 논의 및 동향 연구: 개발 효과성, 새천년개발목표, 파트너십, 인권/젠더/환경과 개발 이슈
연구 프로세스(예시, 한국형 ODA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통합체계 연구. 2013.2.)
매년 업무성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근무시간에 따라 사원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에 대한 설득력과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적극적인 자세 강한 추친력을 가진 인재 양성하고자 합니다.
한국행정조직개편
경험과 사례연구
  • •조직개편 동인과 방향
    •유사사례 분석
    •ODA 조직의 이론적 대안 도출
  • 한국 ODA
    추진체계 현황 분석
  • •한국 추진체계의 특징,
     변화과정, 운영메커니즘 정리
    •문제점 및 원인 분석

  • 해외사례연구
  • •각국 추진체계의 특징,
     변화과정, 운영메커니즘 조사
    •문헌연구
    •각국 담당자 인터뷰
  • 한국형 ODA
    추진체계 대안및검토
  • •조직 기능별 대안설계
    •대안 간 연계 유형 평가
      (전문가 델파이)
  • 기대 효과
    정보

    +

    개발 효과성 제고, 정부예산 효율적 활용 및 민간재원 유치 증대, 개발도상국에 인도주의 실현 및 정치, 경제적 우호적 관계 증진

    국제개발협력 실적

    사진제목작성자등록일첨부 조회수
    국제개발협력 실적관리자2015.12.25 14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