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시기와 조사기간은 성실한 응답 즉, 조사결과의 내용에 영향을 줄 뿐 만아니라 조사비용에도 미치게 된다.
예컨대 조사시기의 경우 세월호 직후에 안전관련 담당공무원조사나 국정감사 기간에 중앙공무원조사의 경우 대상자와의 접촉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용도 불성실하게 응답할 가능성이 높다. 적절한 조사 시기 이외에 조사기간은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적정한 시간이 필요하다. 만일, 단축하는 경우 조사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조사비용도 조사기간과 같이 적정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조사기간과 비용이 최소한에 미치지 못할 경우 응답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반면에 조사기간이나 비용이 적정수준까지는 증가할수록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적정수준 이상의 경우 응답결과의 질을 제고하지는 않는다. 특히 조사비용의 경우 응답자의 답례와 직결되는데, 응답자의 시간당 소득 및 집단의 속성에 따라 차등하여 제공함으로써 성실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들 3요소(조사 시기, 기간, 비용)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의뢰기관이 정한 다음 조사기관에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조사수요는 적고 공급이 많기 때문에 의뢰기관이 원하는 시기에 보다 짧은 기간과 적은 비용으로 조사하게 된다.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자한 조사결과이지만 신뢰할 만한지 의심이 든다. 아마도 일회성 자료 이상의 활용도를 높이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다른 연구자가 생성한 자료를 함부로 인용하지도 못하고, 심지어 불신하기도 한다.